[출근길 인터뷰] "지원자가 없어요"…눈물의 지방대, 상황은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2월은 각 대학이 합격자를 발표하고, 수험생들은 대학 합격의 기쁨과 탈락의 쓴맛을 맛보는 달이기도 합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지방대는 상황이 다르다고 합니다.<br /><br />신입생 유치에 애를 먹고 있다고 하는데요.<br /><br />지방대를 살릴 대책은 없는지 출근길 인터뷰에서 알아보겠습니다.<br /><br />뉴스 캐스터 연결합니다.<br /><br />박서휘 캐스터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수요일 출근길 인터뷰에서는 대학교육연구소 임은희 연구원을 만나 얘기 나눠보겠습니다. 안녕하세요?<br /><br />[임은희 / 대학교육연구소 연구원]<br /><br />안녕하세요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현재 지방대 신입생 유치가 많이 어려운 상황인가요?<br /><br />[임은희 / 대학교육연구소 연구원]<br /><br />네, 그렇습니다. 우선 지난해 마감한 수시모집 결과를 보면은 지방 4년제 대학에서 18만 명을 모집했는데 3만 3000명가량이 미등록 했습니다. 즉 18%가량의 미등록률을 보였고요.<br /><br />지금 진행되고 있는 정시모집에서도 경쟁률이 3:1이 되지 않아서 사실상 미달이 예상되는 대학이 70여 곳인데 대부분이 지방대학입니다.<br /><br />그만큼 지난해에 이어서 올해에도 지방 대학 충원이 심각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지방의 거점 대학들도 같은 상황인가요?<br /><br />[임은희 / 대학교육연구소 연구원]<br /><br />그렇습니다. 과거에는 지역에 있는 거점 국립대학들이 서울에 있는 대학 만큼의 위상을 보였다라면 지금은 지방 대학이 겪는 어려움을 비슷하게 겪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경쟁률도 과거에 비해서 많이 낮아졌고요. 학생을 다 채우지 못하는 미충원 대학도 늘어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이렇게 신입생 유치가 어려운 근본적인 원인이 있을 것 같은데요.<br /><br />[임은희 / 대학교육연구소 연구원]<br /><br />학생 수 감소입니다. 학령인구, 즉 대학에 진학하게 되는 학령인구가 2013년에 70만 명이었는데요.<br /><br />올해 44만 명으로 크게 줄었습니다. 대학 입학 정원이 48만 명보다도 줄어들면서 미충원이 불가피한 상황입니다.<br /><br />문제는 수도권으로의 선호가 점점 짙어지면서 대학도 수도권 대학을 원하는 학생들이 많아졌고 그러다 보니까 미충원의 몫은 대부분 지방대학으로 가고 있어서 지방대학의 어려움이 점점 가중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지방대들이 살아남기 위해서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통합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거든요. 그 상황이 좀 어떻습니까?<br /><br />[임은희 / 대학교육연구소 연구원]<br /><br />2021년도에 국립경상대학과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통합을 했습니다.<br /><br />그리고 최근 언론보도에 따르면 충남대와 한밭대도 구체적으로 통합 논의를 가져가는 것을 보이는데요.<br /><br />문제는 2000년대부터 이미 많은 국립대학들이 통합을 해서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지만 지방대학 위기가 해소되고 있다라는 것은 들리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만큼 학생 수 감소라든가 수도권 선호 현상으로 인해서 통합만으로 지방대학의 위기를 극복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보입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말씀하신 대로 통합이 정답은 아닐 것 같은데요. 그렇다면 어떤 대책이 좀 필요해 보입니까?<br /><br />[임은희 / 대학교육연구소 연구원]<br /><br />우선은 지방대학들이 각자도생으로 해결하는 방식으로는 지금의 지방대 문제가 해소될 수 없습니다.<br /><br />따라서 정부가 지역균형 발전 차원에서 지방대학에 대한 문제를 종합적으로 해소하는 것이 필요한데요.<br /><br />우선은 학령인구에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서 전체 대학의 정원을 감축하는 방안이 필요합니다.<br /><br />이를 통해서 수도권에 있는 대학도 적정 규모로 운영이 되면서 교육과 연구의 질을 높여 내고 지방에 있는 대학도 학생 수 감소로 인한 일방적인 피해를 최소화하는 게 필요합니다.<br /><br />또 학생 수를 줄이게 되면 대학의 재정 수입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는데요.<br /><br />이를 위해서 정부가 재정 지원을 더 두텁게 하고 지방대학의 교육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추가적인 재정 지원도 필요합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오늘 좋은 말씀 고맙습니다.<br /><br />[임은희 / 대학교육연구소 연구원]<br /><br />고맙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지금까지 출근길 인터뷰였습니다.<br /><br />#지방대 #대학입시 #대학입학 #지방대통폐합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